전자세금계산서 썸네일형 리스트형 [전자세금계산서]의무발급대상자 및 의무기간 전자세금계산서 의무발급 대상자 및 의무기간 ○ 법인사업자는 2011.1월부터, 직전연도의 사업장별 재화 및 용역의 공급가액의 합계액이 3억원 이상 개인사업자는 2014.7월부터 전자세금계산서 발급의무 시행 ○ 개인사업자의 전자발급 의무기간 ★★★ - (정기신고) 사업장별 재화 및 용역의 공급가액의 합계액이 3억원 이상인 해의 다음 해 제2기 과세기간과 그 다음 해 제1기 과세기간 - (수정신고 등) 사업장별 재화 및 용역의 공급가액의 합계액이 수정신고 또는 경정 · 결정(이하 “수정신고 등”)으로 3억원 이상이 된 경우 수정신고 등을 한 날이 속하는 과세기간의 다음 과세기간과 그 다음 과세기간 (예시) ’16년 연간 공급가액이 2.5억원인 A개인사업자가 ’17.3월 공급가액 1억원 증액 수정신고 시 → .. 더보기 [전자세금계산서]발급·전송시 혜택 및 가산세 발급·전송 시 혜택 ○ (신고간편) 과세기간 종료일 다음달 11일까지 국세청에 전송된 전자(세금)계산서는 부가가치세 신고서(합계표) 작성 시「전자(세금)계산서 발급분」란에 합계액만 기재하고, 거래처별 명세 작성의무 면제 ○ (비용절감) (세금)계산서를 출력?보관할 필요가 없는 등 종이(세금)계산서의 작성 · 송달 · 보관비용 절감 ○ (세액공제) 전자계산서 발급명세를 국세청장에 전송하는 경우 발급 건당 200원(연간한도 100만원, 법인 제외)의 발급 세액 공제 * 전자세금계산서의 경우 ’15.12.31.로 세액공제 종료되었으며, 전자계산서의 경우 ’15.1.1. 부터 ’18.12.31.발급분까지 적용함 가산세 ○ 전자세금계산서 - 전자세금계산서를 발급 · 전송하지 않는 경우 공급가액에 아래 가산세율을 .. 더보기 [전자세금계산서]발급 및 전송 발급시기 ○ 재화나 용역을 공급받는 자가 지정하는 수신함에 입력되거나 국세청 전자(세금)계산서 발급 시스템에 입력된 때에 공급 받는자가 그 전자(세금)계산서를 수신한 것으로 봄 ○ 파일 전송 없이 단순히 발급된 사실만을 알리는 SMS 통지나 링크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아직 발급이 완료된 상태가 아님 - 거래상대방 수신함(이메일) 또는 홈택스에 입력된 때 발급완료 ○ 전자서명하지 않은 (세금)계산서 파일을 거래상대방 이메일로 발송한 경우에는 아직 발급이 완료된 상태가 아님 - 전자서명을 하고 전자(세금)계산서 표준에 의해 생성된 파일이 거래상대방 수신함(이메일)에 도달한 때 발급 완료 ○ 거래상대방이 이메일 주소가 없는 경우 또는 적용될 수 없는 경우 - 매입자가 이메일 주소가 없거나 지정.. 더보기 이전 1 다음